본문 바로가기

백과사전10

쿠키의 정의, 쿠키 반죽법 및 재료의 역할 1. 쿠키의 어원 및 역사적 배경 쿠키는 서양의 대중적인 과자 중 하나로 오늘날 우리에게도 익숙한 과자이다. 쿠키의 수분함량이 5% 이하인 건조된 과자를 말한다. 쿠키의 어원은 네덜란드어 쿠에케(koekje)라는 작은 케이크에서 나온 단어이다. 우리가 현재 쓰는 쿠키라는 단어는 미국에서 표기되고 영국에서는 비스킷, 프랑스는 푸르세크, 독일은 케크라 부른다. 쿠키의 역사적으로는 2번 굽다의 의미로 '비스킷만'에서 출항하는 선원들이 지니고 있었던 바삭바삭한 과자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쿠키의 제법에 따라 쿠키를 분류하면 반죽형 쿠키, 거품형 쿠키, 냉동 쿠키로 분류할 수 있다. 쿠키의 배합에 따라 분류는 비스킷, 소프트 쿠키, 설탕 쿠키, 버터 쿠키, 허니 쿠키, 치즈 쿠키 등 다양하다. 밀가루를 사용하지 .. 2023. 4. 3.
빵 반죽과 발효 과정 이론 이해하기 1. 빵 반죽의 글루텐 역할 빵 반죽이란 밀가루의 글루텐을 발전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밀가루, 이스트, 소금, 유지 등의 재료를 물이나 우유에 섞어 치대거나 믹싱 하여 반죽한다. 빵 반죽의 뼈대를 이루게 해주는 글루텐은 발효 중 생성되는 가스를 품고 맛과 모양을 유지해 준다. 빵 반죽 시 믹서를 이용하는 경우 처음은 저속단계로 재료를 혼합하여 충분히 물에 흡수된 반죽 상태가 되었을 때 단계를 올려 중속 또는 고속으로 믹서를 해서 반죽을 만든다. 반죽의 궁극적인 목적은 반죽에 글루텐을 형성하여 빵을 부풀게 만드는 것이다. 글루텐을 발전시켜 가소성, 점성, 탄력성을 최적의 반죽 상태로 만들기 위함이다. 또한 반죽에 공기층을 만들어 배합된 재료를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는 것이다. 2. 빵 반죽의 특성 빵 반죽을.. 2023. 4. 3.
제과제빵의 기초! 밀가루 이해하기 밀가루란? 빵, 과자, 국수, 튀김등의 재료가 되는 밀가루는 벼와 달리 껍질을 벗기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도정기술 발달 전에는 가루로 만들어야만 껍질을 분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밀가루에 물을 섞으면 단백질 역할을 하는 글루텐이 형성이 되어 밀가루 반죽이 완성된다. 밀알의 구조는 배아(Germ), 외피(껍질, BranLayers), 배유(Endosperm)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밀알의 구조 배아(Germ): 밀알 중 2~3%를 차지하고 있고 9.4%의 많은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배아의 높은 지방 함유량으로 인해 저장성이 나빠서 배아의 기름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외피(껍질, BranLayers): 밀알의 외피 즉, 껍질은 전체 밀알의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백질 .. 2023. 4. 1.
버터케이크 종류와 크림법, 블랜딩법, 올인원법 알아보기 버터케이크는 버터를 듬뿍 넣고 설탕, 달걀을 거품을 올려 제조한 케이크는 말한다. 버터케이크는 흔히들 옛날 케이크로 많이들 알고 있으나 버터케이크의 종류는 다양한 편이다. 1. 버터케이크란? 버터케이크는 영국에서 먼저 발전하였는데 설탕, 버터, 계란, 밀가루를 1파운드씩 넣어 만든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파운드케이크나 프랑스의 마들렌, 독일의 바움쿠헨 등이 대표적인 버터케이크이다. 버터케이크를 제법상 분류를 해보자면 버터를 부드럽게 한 후 설탕이나 달걀을 넣고 거품을 올린 후 밀가루를 넣고 섞어서 만드는 크림법, 버터에 박력분의 일부를 넣고 섞어준 뒤 달걀, 설탕을 넣은 후 남은 박력분을 섞어주는 제법인 블랜딩법, 버터, 설탕, 박력분, 유화제 등을 한꺼번에 넣고 거품을 올리는 방법인 1 단계법이 있다. .. 2023.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