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

버터케이크 종류와 크림법, 블랜딩법, 올인원법 알아보기 버터케이크는 버터를 듬뿍 넣고 설탕, 달걀을 거품을 올려 제조한 케이크는 말한다. 버터케이크는 흔히들 옛날 케이크로 많이들 알고 있으나 버터케이크의 종류는 다양한 편이다. 1. 버터케이크란? 버터케이크는 영국에서 먼저 발전하였는데 설탕, 버터, 계란, 밀가루를 1파운드씩 넣어 만든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파운드케이크나 프랑스의 마들렌, 독일의 바움쿠헨 등이 대표적인 버터케이크이다. 버터케이크를 제법상 분류를 해보자면 버터를 부드럽게 한 후 설탕이나 달걀을 넣고 거품을 올린 후 밀가루를 넣고 섞어서 만드는 크림법, 버터에 박력분의 일부를 넣고 섞어준 뒤 달걀, 설탕을 넣은 후 남은 박력분을 섞어주는 제법인 블랜딩법, 버터, 설탕, 박력분, 유화제 등을 한꺼번에 넣고 거품을 올리는 방법인 1 단계법이 있다. .. 2023. 3. 30.
과자의 역사와 정의 및 종류 오늘날 과자는 식생활의 다양화로 커피나 따뜻한 차 한잔과 먹는 또 다른 즐거움,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 등 지친 일상의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다. 현재 우리 일상이 많은 발전을 거쳐 왔듯이 과자 또한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1. 과자의 탄생 과정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 시대 밀가루에 과실이나 우유를 넣고 꿀이나 기름을 칠해 만들었다고 전해져 있다. 이집트 시대(BC 3000~BC 500년)에는 밀가루를 사용한 빵 반죽에 과일을 넣어 과자가 만들어졌으며, 그리스 시대 (BC 600~BC 350년) 이집트 시대의 빵 굽는 기술이 그리스로 전래되어 여러 가지 과자를 만들게 되었다. 로마 시대(BC 250~AD 500년)의 알렉산더 대왕이 동방에서 설탕을 가져와 과자 만들기가 보급되었다고 한다.. 2023. 3. 27.
식빵의 유래와 종류 및 배합과정 1. 식빵의 정의 식빵의 어원은 일본어의 쇼쿠판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 미술 디자인을 할 때 그림을 지우는 용도로 사용하는 빵을 케시판이라 부르는데 이에 대응하여 실제로 먹는 빵을 쇼쿠판이라 부르는데서 나왔다는 설이 대표적이다. 식빵은 주로 식사 대용으로 먹는 주식인 빵이다. 먹기 편리하도록 미리 잘라 놓은 빵을 식빵이라고 말하는데 1928년 미국 미주리주 실리코시의 실리코시 제과에서 먼저 상용화되었다고 한다. 밀가루에 물과 이스트를 넣어 반죽을 하며 기호에 따라 우유, 분유, 소금, 설탕, 옥수수 가루, 호밀가루, 버터, 밤 등 을 첨가하기도 한다. 설탕 사용량을 10% 이하로 사각팬에 넣고 오랫동안 굽는 것이 특징이다. 빵의 윗면은 자연스럽게 부풀려 만든 식빵과 평평하게 구운 식빵이 있다... 2023. 3. 27.
다양한 제빵법의 종류 제빵법의 종류 제빵법은 스트레이트법. 스펀지 도우법, 액체 발효법, 기타 제빵법 등이 있다. 1. 스트레이트법 (Straight Dough Method) 스트레이트법은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믹서에 넣고 믹싱 하는 것이다. 공정시간, 노동력, 전력, 설비 등의 감소가 되며 반죽의 발효 손실이 감소가 된다. 반죽의 흡수율이 좋아지는 장점으로 대규모 제과점보다는 소규모 제과점에서 사용하는 제법이다. 반죽의 발효, 내구성이 없으며, 제품의 노화가 빠르다는 단점이 있다. 스트레이트법에는 비상 스트레이트법, 노타임법, 재반죽법, 후염법 등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비상 스트레이트법 (Emergency Dough) 표준 반죽 시간을 늘리고 발효 속도를 촉진시켜 짧은 시간에 제품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다. 빵 생.. 2023. 3. 26.